미혼인데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을까요?
결론부터 말하지면 가능합니다.
저는 작년에 미혼 신분 + 청년(만 34세 이하)를 이용해 낮은 금리로 당시 2.3%로
대출을 받았는데요.(지금은 가산 금리가 올라서 2.7% 정도로 내고 있어요)
저처럼, 정부 지원 대출인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한지 궁금한 분들이 많을 거예요.
2025년 기준으로 미혼자가 신청할 수 있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.
▶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
▶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
각각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!
1.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(만 19~34세 미혼자 가능)
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미혼 청년이 신청할 수 있는 상품이에요.
▪️신청 조건
연령: 만 19세~34세
소득: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자산: 총자산 3.37억원 이하
대상 주택: 전용면적 85㎡ 이하(수도권 및 도시 지역), 100㎡ 이하(읍·면 지역)
보증금 한도: 수도권 3억 원, 지방 2억 원 이하
▪️대출 한도 & 금리
대출 한도: 최대 2억원 이내(임차보증금의 80% 이내)
금리: 연 2.0%~3.1% (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)
대출 기간: 기본 2년,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
▪️신청 방법
신청 가능 은행: 우리은행, 국민은행, 기업은행, 농협, 신한은행
신청 방법: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(https://nhuf.molit.go.kr)에서 사전 심사 후 은행 방문 신청
2.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 (미혼 단독세대도 가능)
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연령 제한 없이 미혼 단독세대주도 신청할 수 있어요. 다만, 소득 요건이 조금 더 엄격합니다.
▪️신청 조건
연령: 만 19세 이상
소득: 단독세대 기준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자산: 총자산 3.37억원 이하
대상 주택: 전용면적 85㎡ 이하(도시 지역), 100㎡ 이하(읍·면 지역)
보증금 한도: 수도권 3억 원, 수도권외 2억 원 이하
▪️대출 한도 & 금리
대출 한도: 수도권 최대 1.2억 원, 수도권 외 0.8억 원
금리: 연 2.3%~3.3%
대출 기간: 기본 2년,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
▪️신청 방법
신청 가능 은행: 우리은행, 국민은행, 기업은행, 농협, 신한은행
신청 방법: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(https://nhuf.molit.go.kr)에서 사전 심사 후 은행 방문 신청
3. 청년전용 vs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차이점 정리
◆ 청년전용 대출이 더 유리한 점
최대 2억 원까지 가능 → 일반 대출(수도권 1.2억 원)보다 한도가 높음
금리가 더 낮음 (최저 2.0%) → 일반 대출보다 저렴한 이자로 가능
◆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의 특징
연령 제한 없음 → 35세 이상도 가능
소득 기준이 동일하지만, 대출 한도가 낮아 부담이 있을 수 있음
4. 결론: 미혼도 충분히 신청 가능!
미혼이어도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과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통해 전세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연령이 만 34세 이하라면 청년전용 대출이 더 유리하고, 35세 이상이라면 일반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면 됩니다.
대출 신청 전 본인의 소득과 자산, 주택 조건을 꼭 확인하고 준비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