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을 때
가장 중요한 건.. 대출 이자죠!
원래 집은 은행이랑 같이 사는 거니까 .. 쥬륵😂😂
대출을 받았을 때 월 얼마씩 상환해야 하는지
요즘 가장 많이 받는 방식인
원리금균등상환 방식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!
(원금균등, 체증식도 많이 하시지만.. 대세에 따라 ㅎㅎ)
✅ 우선!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이 무엇인가?
원리금균등상환은 매달 같은 금액을 갚아 나가는 방식입니다.
즉, 원금(빌린 돈)과 이자(빌린 돈에 붙는 추가 비용)를 합쳐서 매달 일정한 금액으로 갚는 거예요.
✔️ 장점
- 매달 같은 금액을 내니까 부담이 적어요!
- 예측하기 쉬워서 계획적인 지출이 가능해요.
- 대출을 끝까지 갚는다면 이자 부담이 균등하게 분배돼요.
❌ 단점
- 총 이자 부담이 원금균등상환(초기에 많이 갚는 방식)보다 커요.
- 초기에는 이자 비율이 높아서 원금이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요.
❓원금균등상환 / 체증식에 대해서도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
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설명, 비교해 두었습니다.
집사면서 5억 빌리기|상환 방식에 따른 금액 비교
대출금 상환 방식의 종류 대출금 상환 방식은 원리금균등상환 / 원금균등상환 / 체증식상환 이렇게 3가지 방식이 있어요. 각각의 장단점이 확실한데요. 차이를 알고 싶다면 이전 글을 확인
newambition.tistory.com
✅ 원리금균등상환 1억~8억 월별 상환금액
▪️조건: 대출금리 연 4% / 상환기간 30년 / 원리금균등상환 방식
위와 같은 조건일 때 월 상환금은 각각 얼마일까요?
1억부터 8억까지 각각 알아보겠습니다.
1억 대출 시 : 월 477,415원
2억 대출 시 : 월 954,831원
3억 대출 시 : 월 1,432,246원
4억 대출 시 : 월 1,909,661원
5억 대출 시 : 월 2,387,076원
6억 대출 시 : 월 2,864,492원
7억 대출 시 : 월 3,341,907원
8억 대출 시 : 월 3,819,322원
상환 기간이 달라지거나 금리가 달라지면
당연히 금액도 달라집니다.
✅ 원리금균등방식 누구에게 유리할까?
- 월급이 일정한 직장인 (매달 일정 금액을 갚아야 하니까!)
- 초반 부담을 줄이고 싶은 사람 (처음부터 많이 갚기 어려운 경우!)
-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대출 상환을 원하는 사람
✅ 내게 유리한 상환 방식은?
어떤 방식으로 상환하는냐는
사람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많이 갈립니다.
서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이죠.
지금 집에 평생 살며 갚을 거다,
중간에 집을 팔 예정이다,
투자 관점 / 주거 관점,
인플레를 어떻게 보느냐
이자와 원금을 바라보는 시각 등
다양한 관점에 따라 달라집니다.
뭐가 맞고 틀린 것은 없는 거죠.
결국, 공부하여 내 기준을 찾는 것이 최고입니다.
✅ 마무리 정리
이 표는 단순히 참고 금액으로
정확한 대출이자와 상환액은 은행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
'금융 · 은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출 갈아타기 똑똑하게 하는 법|이자 절약하는 대출대환 실행하기 (1) | 2025.03.03 |
---|---|
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로 4억 대출받으면 이자는 얼마일까? (9) | 2025.02.18 |
버팀목 전세대출 HUG, HF 뭐가 좋음?(실행 후기) (1) | 2025.02.15 |
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지원(조건, 자격, 금리, 신청, 계산해보기) (2) | 2025.02.13 |
집사면서 5억 빌리기|상환 방식에 따른 금액 비교 (0) | 2025.01.18 |